목록전체 글 (25)
정보수학
여기서 탐구하는 범위를 선택함에 있어서 우리는 이 과학적 탐구가 지니는 현실성을 챙길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부적절한 범주에서 모호한 논쟁을 하느라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게 하는데 주력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제한 혹은 분할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가 이 글의 주제이다. 예를 들면 많은 이들은 태어나서 지금까지 혹은 최근 몇 년 간을 자신의 탐구와 진리를 찾는 제한영역으로 본다. 더 과거는 고려하지 않고, 자신과 가까운 주변을 주로 범위로 삼는다. 누구도 인생을 고민함에 있어, 명왕성의 어딘가까지 확장해 상정하지 않는 것과 같다. 우리의 머리속에는 이 지구에서도, 그것도 살고 있는 근처만을 염두해둔다. 대부분의 인간은 자신의 보고 살고 있는 시간과 공간을 자연스레 염두해두고 살아가기 때문이다. ..
더 여정을 시작하기 전에, 우주를 둘러싼 스케일을 한번 살펴보자. 기존 필자의 글에서 발췌해본다. 맨 먼저 양자역학에서 다루는 최소 길이인 플랑크 길이(Planck length)를 이해해야 한다. 플랑크 길이는 유의미한 가장 작은 길이이며, 이 길이 이하에는 현재 우리가 가진 이론으로는 물리적인 의미가 없다고 한다. 1.61624 * (10 ^ -35) m 그리고 우리가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아래와 같다(지구를 중심으로 관측가능한 우주를 구라고 할때 그 지름). 이 밖에도 당연히 무언가 있을텐데, 인간으로서는 빛의 속도 한계 등으로 가보거나 관측할 수가 없다. 8.8 * (10 ^ 26) m 이 길이를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길이 단위로 만들면, 이 우주의 상태를 기술할때 다루어야할 배열의 ..
수학이라는 도구를 갖고 있다고 해도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탐구가 별도로 필요하다. 이러한 탐구는 개인적으로는 우주를 동일하게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좋고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에 대해서 중요한 한계들을 상정하고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신기하지 않는가? 그것을 계산하여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을 생각하면 우주를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테면 지금 진행되는 수많은 공학적인 창작, 이를테면 게임 세계나 대형 프로젝트가 어떤 것을 만드는데 고민이 있듯이 우주를 만들때 어떤 고민이 있을지를 예측해보면 이것이 큰 도움을 주리라고 예상한다. 또한 앞서 밝혔듯이 우리가 최선을 다해서 우주가 어떤 법칙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치더라도, 그것..